소상공인·자영업자를 위한 정부 보조금 가이드 (2025)
- 공유 링크 만들기
- X
- 이메일
- 기타 앱
최종 업데이트: 2025년 5월 기준
왜 정부 보조금이 필요한가?
경기 침체와 고물가로 인해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의 경영 부담이 커지고 있습니다. 이에 정부는 창업 초기부터 경영 안정, 디지털 전환, 고용 유지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정책자금 및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습니다. 본 글에서는 2025년 기준 꼭 알아야 할 핵심 보조금 제도를 소개합니다.
1. 소상공인 정책자금 (운영자금/시설자금)
중소벤처기업부에서 운영하는 대표적인 융자제도입니다. 창업 초기 또는 경영 안정이 필요한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낮은 금리로 자금을 지원합니다.
- 지원내용: 연 2%대 금리, 5년 이내 상환 조건
- 자금용도: 점포 운영자금, 설비·시설 보완 등
- 신청처: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(https://ols.sbiz.or.kr)
2. 희망리턴패키지 (폐업 소상공인 재도전 지원)
경영 악화로 폐업을 고려하거나 이미 폐업한 소상공인을 위한 재기지원 프로그램입니다.
- 지원내용: 폐업컨설팅, 철거비 지원, 교육비, 재창업 컨설팅 등
- 지원한도: 최대 300만 원 지원
- 대상: 최근 5년 내 폐업 소상공인
3. 청년 소상공인 창업 지원사업
만 39세 이하 청년층을 대상으로 한 창업지원 프로그램입니다. 상권 분석, 창업 컨설팅, 시제품 개발비, 마케팅비 등을 폭넓게 지원합니다.
- 지원금: 최대 2,000만 원(자부담 일부 있음)
- 지원분야: 기술창업, 유통서비스, 콘텐츠 기반 창업 등
- 신청: 창업진흥원 K-스타트업 포털
4. 디지털 전환 바우처 사업
오프라인 중심의 소상공인 사업체에 디지털 도입을 유도하기 위한 정부 보조금 제도입니다.
- 지원항목: 온라인 쇼핑몰 구축, 스마트 POS, 배달앱 연동 등
- 지원금: 사업비의 70%까지 (최대 500만 원 내외)
- 신청처: 디지털전환바우처.kr
5. 고용유지지원금
매출 감소로 인해 고용이 불안한 상황에서도 직원 해고 없이 고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용노동부에서 지원합니다.
- 지원대상: 일정 기간 유급휴직/휴업을 시행한 사업주
- 지원금: 인건비의 최대 90%까지 정부 지원
- 특징: 2025년 기준 한시적 상향 조정
신청 시 유의사항
- 모든 보조금은 사업자 등록 여부, 업종, 매출 규모에 따라 자격이 다릅니다.
- 신청 누락, 서류 미비로 인한 탈락 사례가 많으므로 사전 확인 필수입니다.
- 중복 지원이 제한될 수 있으므로, 신청 전 각 제도별 공고를 확인하세요.
맺음말
2025년에도 정부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보호를 위한 다양한 제도를 마련하고 있습니다. 자금 지원은 물론 창업, 디지털화, 고용안정 등 각 사업 단계에 맞는 맞춤형 지원이 가능하므로, 본인의 업종과 상황에 가장 적합한 제도를 적극 활용하시길 바랍니다. 최신 공고는 소상공인정책자금 포털과 고용노동부, 중소기업청 사이트를 수시로 확인하세요.